본문으로 건너뛰기
2023. 5. 24
© WONKOOK LEE

WAI-ARIA란 무엇인가요?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

이 글에서는 WAI-ARIA(Web Accessibility Initiative -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 의 개념과 실무 적용 방법을 다룹니다.

먼저, WAI-ARIA가 필요한 이유와 HTML의 시맨틱 요소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접근성 문제를 어떻게 보완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이후, Roles(역할), States(상태), Properties(속성) 과 같은 핵심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UI 요소에 적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인 예제와 함께 소개합니다.

또한, 폼(Form), 모달 다이얼로그(Modal Dialog), 커스텀 UI 컴포넌트(예: 아코디언, 탭) 와 같은 실제 사례에서 WAI-ARIA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잘못된 사용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주의점과 Best Practices를 정리합니다.

마지막으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접근성을 고려하는 방법과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Lighthouse, axe DevTools, NVDA 같은 접근성 테스트 도구를 소개하며, WAI-ARIA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실천 방안을 제안합니다.

이 글을 통해 WAI-ARIA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실제 프로젝트에서 접근성을 고려한 UI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WAI-ARIA에 대해

WAI-ARIA의 정의

WAI-ARIA(Web Accessibility Initiative -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제안한 웹 접근성 표준으로, 보조 기술(Screen Reader, 음성 명령 시스템 등)이 웹 콘텐츠를 올바르게 해석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기본적으로 HTML은 <button>, <nav>, <article> 등의 시맨틱 요소를 제공하여 웹페이지의 구조와 의미를 전달하지만, 복잡한 UI 컴포넌트(예: 아코디언, 드롭다운, 모달 등)는 기본 HTML 요소만으로 접근성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div>로 구현된 버튼은 보조 기술이 버튼으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WAI-ARIA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할(Role), 상태(State), 속성(Property) 을 정의하여 보조 기술이 UI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role="button"을 사용하면 일반 <div>도 버튼처럼 동작할 수 있으며, aria-expanded="true" 속성을 추가하면 드롭다운 메뉴가 열린 상태임을 알릴 수 있습니다.

WAI-ARIA는 웹 접근성을 보완하는 기술이지만, HTML의 기본 시맨틱 요소를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좋은 접근 방식입니다.


웹 접근성이 중요한 이유

웹은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하지만, 접근성이 고려되지 않은 사이트는 장애가 있는 사용자들에게 심각한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스크린 리더(Screen Reader) 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청취합니다. 하지만 구조가 잘못 설계되거나 시맨틱한 정보가 부족하면 보조 기술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워집니다.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은 키보드만으로 모든 인터페이스를 조작해야 합니다. 하지만 키보드 포커스 이동이 원활하지 않거나, 클릭 가능한 요소가 키보드로 접근할 수 없도록 구현되어 있다면, 웹사이트 이용이 불가능해집니다.

또한, 접근성은 장애가 있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장애(예: 손목 부상으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나 환경적 제약(예: 강한 햇빛 아래에서 화면을 보기 어려운 상황) 에서도 유용하게 작용합니다.

결국, 웹 접근성은 특정 사용자 그룹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용자를 위한 보편적인 원칙입니다.


WAI-ARIA가 필요한 이유

HTML5는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시맨틱 요소를 제공하지만, 동적 UI가 많아진 현대 웹 환경에서는 기본 요소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WAI-ARIA가 필요합니다.

  1. 커스텀 UI 컴포넌트
    • <button> 대신 <div>로 버튼을 구현하면 보조 기술이 이를 버튼으로 인식하지 못합니다.
  2. 동적 콘텐츠 변경
    • 화면의 특정 요소가 변경되었을 때 이를 보조 기술이 인식하도록 알려주지 않으면, 사용자는 변화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3. 키보드 네비게이션 부족
    • 키보드만으로 조작할 수 없는 UI는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AI-ARIA는 HTML 요소가 본래 제공하지 않는 추가적인 정보를 명시적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div role="dialog" aria-labelledby="modal-title">처럼 사용하면 일반 <div> 요소도 모달 다이얼로그로 인식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WAI-ARIA는 HTML의 기본 기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만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접근 방식입니다.




WAI-ARIA의 주요 개념

웹 접근성을 고려한 UI 개발에서는 Roles(역할), States(상태), Properties(속성) 의 세 가지 개념이 중요합니다. WAI-ARIA는 이 개념들을 통해 보조 기술이 웹 콘텐츠를 더욱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Roles(역할): 요소가 수행하는 기능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role="button"을 사용하면 <div>도 버튼처럼 동작할 수 있습니다.
  • States(상태): 요소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며, 동적 UI 변화를 보조 기술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aria-expanded="true"는 아코디언이 열려 있음을 의미합니다.
  • Properties(속성): UI 요소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aria-labelledby="header-title"은 특정 제목과 요소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제 각 개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ARIA Roles(역할)

ARIA Roles는 특정 UI 요소의 기능을 명확히 정의하는 속성입니다. HTML의 시맨틱 요소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 role 속성을 추가하여 보조 기술이 요소의 역할을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iv> 요소를 버튼처럼 동작하게 만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div role="button" tabindex="0">클릭하세요</div>

여기서 role="button"은 보조 기술이 이 요소를 버튼으로 인식하게 하며, tabindex="0"을 추가하면 키보드 포커스도 가능해집니다.


Landmark Roles(랜드마크 역할)

랜드마크 역할은 페이지의 주요 영역을 명확히 정의하여 보조 기술이 콘텐츠를 더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header role="banner">웹사이트 제목</header>
<nav role="navigation">
<ul>
<li><a href="/"></a></li>
<li><a href="/about">소개</a></li>
</ul>
</nav>
<main role="main">
<h1>메인 콘텐츠</h1>
</main>

위 코드에서 role="banner", role="navigation", role="main"은 각각 페이지의 제목, 내비게이션, 주요 콘텐츠 영역을 나타냅니다.


Widget Roles(위젯 역할)

위젯 역할은 버튼, 다이얼로그, 탭과 같은 동적 UI 요소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div role="dialog" aria-labelledby="modal-title">
<h2 id="modal-title">로그인</h2>
<button aria-label="닫기">X</button>
</div>

이처럼, 특정 역할을 명확히 부여하면 보조 기술이 UI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ARIA States(상태)

ARIA 상태 속성은 UI 요소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며,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하는 동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 aria-checked: 체크박스나 라디오 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 aria-disabled: 요소가 비활성화된 상태인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 aria-expanded: 아코디언이나 드롭다운이 열려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button aria-expanded="true" aria-controls="content">더보기</button>
<div id="content">추가 정보</div>

여기서 aria-expanded="true"는 해당 버튼이 현재 확장된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ARIA Properties(속성)

ARIA 속성은 특정 UI 요소의 설명이나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 aria-labelledby: 요소가 어떤 제목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지정합니다.
  • aria-describedby: 요소에 대한 추가 설명을 제공합니다.
  • aria-hidden: 특정 요소를 보조 기술이 무시하도록 설정합니다.
<h2 id="header-title">제품 목록</h2>
<ul aria-labelledby="header-title">
<li>제품 A</li>
<li>제품 B</li>
</ul>

위 코드에서 aria-labelledby="header-title" 속성을 사용하면 보조 기술이 목록과 제목을 함께 읽어줄 수 있습니다.


WAI-ARIA와 HTML5의 역할 분담

HTML5는 <button>, <input>, <nav>, <header> 같은 시맨틱 요소를 제공하여 보조 기술이 웹 콘텐츠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WAI-ARIA 대신 HTML의 기본 시맨틱 요소를 활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 올바른 예시 (HTML 기본 요소 사용)

<button>클릭하세요</button>

🚫 잘못된 예시 (ARIA를 불필요하게 사용)

<div role="button" tabindex="0">클릭하세요</div>

ARIA를 사용하면 보조 기술이 요소를 버튼으로 인식할 수는 있지만, HTML의 <button> 요소는 이미 접근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역할(role) 지정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Recap

WAI-ARIA의 role, state, property 속성은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HTML의 기본 기능이 이미 제공하는 정보를 불필요하게 중복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ARIA를 추가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접근 방식입니다.




WAI-ARIA 적용 사례

실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다양한 UI 요소에 WAI-ARIA를 적용하여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Form 요소, Modal Dialog, Custom UI 컴포넌트(예: 아코디언, 탭 등) 에서의 적용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Form 요소에 WAI-ARIA 적용하기

폼(Form)은 웹에서 가장 중요한 인터랙티브 요소 중 하나이며, 보조 기술 사용자가 원활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HTML 자체적으로 <label>을 제공하지만, WAI-ARIA를 활용하면 더 명확한 연관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aria-labelledbyaria-describedby를 활용한 폼 입력

<label id="email-label" for="email">이메일</label>
<input
type="email"
id="email"
aria-labelledby="email-label"
aria-describedby="email-hint"
/>
<p id="email-hint">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세요.</p>
  • aria-labelledby="email-label": 입력 필드가 특정 레이블과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 aria-describedby="email-hint": 입력 필드에 대한 추가 설명을 제공합니다.

aria-invalidaria-required를 활용한 유효성 검사

<input type="text" aria-required="true" aria-invalid="true" />
  • aria-required="true": 해당 필드가 필수 입력 항목임을 의미합니다.
  • aria-invalid="true": 잘못된 입력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속성들은 시각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보조 기술이 이를 해석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모달 다이얼로그는 웹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키보드 사용자나 스크린 리더 사용자가 모달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role="dialog"aria-labelledby를 활용한 모달

<div
role="dialog"
aria-labelledby="modal-title"
aria-describedby="modal-description"
>
<h2 id="modal-title">로그인</h2>
<p id="modal-description">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p>
<button aria-label="닫기">X</button>
</div>
  • role="dialog": 보조 기술이 해당 요소를 모달 대화 상자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 aria-labelledby="modal-title": 다이얼로그의 제목을 명확하게 지정합니다.
  • aria-describedby="modal-description": 다이얼로그의 내용을 설명합니다.

키보드 포커스 유지

모달이 열릴 때, 사용자의 키보드 포커스를 모달 내부에 유지하고 닫힐 때는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처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JavaScript로 focus()를 적절히 제어해야 합니다.

<button id="open-modal">모달 열기</button>

<div id="modal" role="dialog" aria-labelledby="modal-title" hidden>
<h2 id="modal-title">로그인</h2>
<button id="close-modal">닫기</button>
</div>

<script>
const openModal = document.getElementById("open-modal");
const closeModal = document.getElementById("close-modal");
const modal = document.getElementById("modal");

openModal.addEventListener("click", () => {
modal.hidden = false;
closeModal.focus(); // 모달이 열릴 때 닫기 버튼에 포커스
});

closeModal.addEventListener("click", () => {
modal.hidden = true;
openModal.focus(); // 모달이 닫힐 때 원래 위치로 포커스 복귀
});
</script>

이렇게 하면 모달이 열릴 때 키보드 포커스가 모달 내부로 유지되며, 닫히면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됩니다.


Custom UI 컴포넌트에서 WAI-ARIA 적용

기본 HTML 요소로 제공되지 않는 아코디언(Accordion), 탭(Tab)과 같은 UI 컴포넌트는 WAI-ARIA를 활용하여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아코디언(Accordion)에 WAI-ARIA 적용

아코디언은 펼치거나 닫을 수 있는 UI 컴포넌트로, aria-expanded 속성을 활용하여 현재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button aria-expanded="false" aria-controls="content">더보기</button>
<div id="content" hidden>추가 정보</div>

<script>
const button = document.querySelector("button");
const content = document.getElementById("content");

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const isExpanded = button.getAttribute("aria-expanded") === "true";
button.setAttribute("aria-expanded", !isExpanded);
content.hidden = isExpanded;
});
</script>
  • aria-expanded="false": 아코디언이 닫힌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 aria-controls="content": 버튼이 제어하는 콘텐츠를 명시합니다.
  • JavaScript를 활용하여 상태 변경 시 aria-expanded 값을 업데이트합니다.

탭(Tab) 컴포넌트에서 WAI-ARIA 적용

탭(Tab) UI를 구현할 때, role="tablist", role="tab", role="tabpanel"을 사용하여 보조 기술이 탭의 구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div role="tablist">
<button role="tab" aria-selected="true" aria-controls="panel1" id="tab1">
탭 1
</button>
<button role="tab" aria-selected="false" aria-controls="panel2" id="tab2">
탭 2
</button>
</div>
<div id="panel1" role="tabpanel" aria-labelledby="tab1">탭 1 내용</div>
<div id="panel2" role="tabpanel" aria-labelledby="tab2" hidden>탭 2 내용</div>

<script>
const tabs = document.querySelectorAll('[role="tab"]');
const panels = document.querySelectorAll('[role="tabpanel"]');

tabs.forEach((tab) => {
tab.addEventListener("click", () => {
tabs.forEach((t) => t.setAttribute("aria-selected", "false"));
panels.forEach((p) => (p.hidden = true));

tab.setAttribute("aria-selected", "true");
document.getElementById(tab.getAttribute("aria-controls")).hidden = false;
});
});
</script>
  • role="tablist": 탭 요소들을 그룹화합니다.
  • role="tab": 개별 탭을 정의합니다.
  • aria-selected="true": 현재 활성화된 탭을 나타냅니다.
  • role="tabpanel": 탭의 내용을 감싸는 요소를 정의합니다.
  • aria-labelledby="tab1": 해당 탭과 연결된 콘텐츠를 명시합니다.

이렇게 구현하면 키보드와 보조 기술을 통해 탭 UI를 쉽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Recap

WAI-ARIA는 폼 요소, 모달 다이얼로그, 커스텀 UI 컴포넌트에서 접근성을 보장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HTML의 기본 기능을 우선적으로 활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WAI-ARIA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접근 방식입니다.

이제 실제 프로젝트에서 WAI-ARIA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시고,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WAI-ARIA 사용 시 주의할 점

WAI-ARIA는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보조 기술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WAI-ARIA를 올바르게 적용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HTML5 기본 요소와 중복 사용 주의

HTML5는 이미 접근성을 고려한 시맨틱 요소(<button>, <nav>, <input> 등)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WAI-ARIA는 HTML의 기본 기능이 부족한 경우에만 보완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button> 요소는 본래 클릭 가능한 버튼 역할을 하므로, 추가적인 role="button" 속성은 불필요합니다.

✅ 올바른 예시 (HTML 기본 요소 사용)

<button>클릭하세요</button>

🚫 잘못된 예시 (불필요한 ARIA 사용)

<div role="button" tabindex="0">클릭하세요</div>

<div>role="button"을 추가하는 방식은 <button> 요소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만 선택해야 합니다. 기본 HTML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면 WAI-ARIA 속성을 남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ARIA 사용의 문제점

WAI-ARIA는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존재하지만, 과도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불필요한 role 사용은 보조 기술이 요소를 중복 해석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의미를 갖는 요소(<a>, <button> 등)에 ARIA 속성을 추가하면 브라우저 기본 동작을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 aria-hidden="true"를 남용하면 콘텐츠가 보이지 않는 사용자에게 완전히 무시될 수 있습니다.

🚫 잘못된 예시 (과도한 ARIA 사용)

<a href="/" role="button">홈으로 이동</a>

<a> 요소는 이미 클릭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role="button"을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 올바른 예시

<a href="/">홈으로 이동</a>

WAI-ARIA는 HTML의 기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도구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스크린 리더 지원 여부 확인하기

WAI-ARIA 속성이 모든 스크린 리더와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ARIA 속성을 적용할 때는 반드시 접근성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WAI-ARIA 테스트 도구

  • axe DevTools: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WAI-ARIA 문제를 자동 감지할 수 있습니다.
  • NVDA (Windows) / VoiceOver (macOS): 실제 스크린 리더를 사용하여 WAI-ARIA 적용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ighthouse (Chrome DevTools): 웹 접근성 검사를 수행하고 문제를 보고해 줍니다.

스크린 리더가 특정 ARIA 속성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브라우저마다 동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여러 환경에서 테스트해야 합니다.


Recap

WAI-ARIA는 웹 접근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도구이지만, HTML5 기본 요소를 먼저 활용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 불필요한 role 속성 추가를 피합니다.
  • 기본 HTML 요소가 제공하는 기능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 스크린 리더와 브라우저 지원 여부를 항상 확인합니다.

이 원칙을 따르면, 불필요한 ARIA 사용을 줄이고, 보조 기술 사용자가 보다 원활하게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WAI-ARIA 모범 사례

WAI-ARIA를 올바르게 활용하려면 단순히 속성을 추가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실제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최적의 적용 방식을 이해하고, 키보드 네비게이션 및 동적 콘텐츠 업데이트를 적절히 처리해야 합니다. 또한, 접근성 테스트 도구를 활용하여 ARIA 속성이 올바르게 적용되었는지 검증하는 과정도 필수적입니다.


aria-live를 활용한 동적 콘텐츠 업데이트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이나 시스템 이벤트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콘텐츠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경 사항이 보조 기술 사용자에게 즉시 전달되지 않는다면 중요한 정보를 놓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ria-live 속성을 사용하면 특정 영역이 변경될 때 이를 자동으로 읽어주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aria-live의 동작 방식

  • aria-live="polite": 현재 사용자 작업이 끝난 후 변경된 내용을 읽어줌
  • aria-live="assertive": 즉시 변경된 내용을 읽어줌(긴급한 알림에 사용)

aria-live 적용 예시

<p id="status" aria-live="polite">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p>
<button onclick="updateStatus()">결과 보기</button>

<script>
function updateStatus() {
document.getElementById("status").textContent = "검색이 완료되었습니다.";
}
</script>

위 코드에서 버튼 클릭 시 aria-live="polite"가 설정된 <p> 태그가 변경되며, 보조 기술은 이 내용을 사용자에게 전달합니다.

주의점:

  • 너무 많은 요소에 aria-live를 설정하면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음
  • 화면 업데이트가 빈번한 경우에는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음

키보드 네비게이션과 ARIA의 관계

웹 접근성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모든 인터랙티브 UI 요소를 키보드만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WAI-ARIA는 키보드 네비게이션을 보조하는 몇 가지 속성을 제공합니다.


tabindexaria-activedescendant를 활용한 키보드 포커스 제어

  • tabindex="0": 요소를 키보드 탐색 가능하도록 설정
  • tabindex="-1": 요소가 포커스를 받을 수 있지만, Tab 키로는 이동할 수 없음
  • aria-activedescendant: 현재 활성화된 요소를 명시적으로 지정하여, 스크린 리더가 올바른 항목을 읽도록 함

키보드 네비게이션 예시 (커스텀 드롭다운)

<div role="listbox" tabindex="0" aria-activedescendant="item1">
<div id="item1" role="option" tabindex="-1">옵션 1</div>
<div id="item2" role="option" tabindex="-1">옵션 2</div>
</div>

추가 고려 사항:

  • role="listbox"role="option"을 조합하여 보조 기술이 드롭다운을 제대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함
  • aria-activedescendant를 사용하여 현재 선택된 옵션을 명확하게 지정
  • keydown 이벤트를 활용하여 화살표 키로 항목을 변경하도록 구현 가능

접근성 테스트 도구(axe, Lighthouse, NVDA) 활용법

WAI-ARIA를 적용한 후에는 반드시 접근성 테스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도구를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1. axe DevTools (자동 접근성 검사)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으로 접근성 문제를 자동 감지
  • ARIA 속성이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 분석 가능
  • 사용 방법: Chrome DevTools → axe 탭에서 실행

2. Lighthouse (Chrome DevTools 내장 접근성 테스트)

  • 웹사이트의 접근성 점수를 평가하고 개선할 부분을 제안
  • 사용 방법: Chrome DevTools → Lighthouse → Accessibility 선택 후 실행

3. NVDA (Windows) / VoiceOver (macOS)

  • 실제 스크린 리더 환경에서 WAI-ARIA 적용 결과를 테스트할 수 있음
  • 사용 방법: NVDA(무료) 다운로드 후 활성화 → 웹페이지 탐색

테스트 시 고려할 점:

  • ARIA 속성이 예상대로 동작하는지 확인
  • 키보드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점검
  • 보조 기술 사용자의 경험을 직접 시뮬레이션하여 테스트

Recap

WAI-ARIA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단순히 속성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최적의 접근성 적용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 aria-live를 활용하여 동적 콘텐츠 변경 사항을 전달
  • 키보드 네비게이션을 고려하여 tabindexaria-activedescendant를 적절히 사용
  • axe, Lighthouse, NVDA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ARIA 적용 상태를 검증

이러한 Best Practices를 적용하면 WAI-ARIA가 단순한 기술적 보완 수단이 아니라, 실제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접근성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결론

웹 접근성은 단순히 법적 의무를 준수하는 것을 넘어, 더 많은 사용자가 웹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WAI-ARIA는 기본 HTML 요소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접근성 문제를 보완하는 강력한 도구이며, 이를 올바르게 활용하면 보조 기술 사용자도 동일한 웹 경험을 누릴 수 있습니다.


WAI-ARIA를 적용하는 궁극적인 목표

WAI-ARIA의 목적은 모든 사용자가 동등한 웹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스크린 리더를 통해 콘텐츠를 음성으로 듣습니다.
  •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는 키보드로 모든 인터랙션을 수행합니다.
  • 특정 환경(강한 햇빛, 소음이 심한 공간 등)에서 웹을 이용하는 사용자도 접근성 개선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WAI-ARIA는 특정 사용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용자를 위한 보편적인 원칙입니다.

하지만, WAI-ARIA는 기본 HTML 요소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역할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HTML5에서 제공하는 시맨틱 요소(<button>, <nav>, <article> 등)를 먼저 사용합니다.
  • 기본 요소만으로 부족할 때 WAI-ARIA 속성을 추가하여 접근성을 개선합니다.
  • 과도한 WAI-ARIA 사용은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한 곳에만 적용합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접근성을 고려하는 방법

웹 접근성은 단순히 WAI-ARIA 속성을 추가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설계부터 개발, 테스트까지 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1. 시맨틱 마크업을 우선적으로 사용

HTML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접근성 기능을 최대한 활용해야 합니다.

  • role="button" 대신 <button> 사용
  • role="navigation" 대신 <nav> 사용

2. 키보드 네비게이션 보장

  • tabindex 속성을 적절히 활용하여 키보드 사용자가 모든 요소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함
  • 모달이나 드롭다운이 열릴 때 키보드 포커스를 제어하여 사용성을 높임

3. ARIA 속성을 필요할 때만 사용

  • 동적 콘텐츠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aria-live를 활용
  • 커스텀 UI 컴포넌트에서 role, aria-expanded, aria-labelledby 등을 적절히 적용

4. 접근성 테스트 도구를 적극 활용

  • Lighthouse, axe DevTools, NVDA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접근성 문제를 사전에 발견하고 개선
  • 다양한 브라우저와 환경에서 테스트하여 보조 기술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확인

WAI-ARIA는 웹 접근성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지만, 그 자체가 목표가 아니라, 모든 사용자가 웹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은 단순한 기능 구현을 넘어, 더 많은 사용자에게 열린 웹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책임입니다. 시맨틱한 HTML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키보드와 보조 기술 사용자도 고려하며 WAI-ARIA를 꼭 필요한 곳에 보완적으로 적용하면 더 많은 사람이 동등하게 웹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좋은 사람들과 재미있는 일을 하며 열정적이고 즐겁게 살고 싶은 개발자